유통기한vs소비기한, 먹어도 괜찮은 걸까?
냉장고를 열어보니 까맣게 잊고 지내던 상품이 나온 경우가 많죠? 게다가 상품 겉면에 나와있는 유통기한이 지나 있다면 버리시나요? 유통기한이 지나버린 상품은 섭취가 불가능하다고 생각을 해서 버리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요. 버리는 게 맞는 걸까요? 아니면 냉장보관을 한 제품에 한해 며칠 정도는 괜찮은 걸까요?
유통기한은 식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법적인 기한을 뜻해요. 유통기한이 표기된 날짜를 지나게 되면 판매를 할 수 없게 법적으로 금지가 되어있어요. 소비기한은 식품 섭취 시 소비자의 안전에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기한을 뜻하는데요. 보통은 소비기한의 60~70% 선에서 유통기한이 결정되어요. 즉,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도 일정 기간 이후까지는 섭취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소개하는 식품들의 소비기한을 알아보도록 해요.
1. 우유
유통기한이 짧은 대표적인 식품이죠? 하지만 개봉하지 않고 냉장보관한 경우에는 유통기한이 지나고 50일까지 먹을 수 있어요. 단, 우유를 개봉해 냄새를 맡았을 때 시큼하거나 덩어리가 눈에 보인다면 상한 것이니 버려야 해요.
2. 치즈
우유를 가공해 만든 치즈는 유통기한보다 훨씬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다. 서늘한 곳에 보관하고 개봉하지 않았다면 유통기한으로부터 70일까지 괜찮아요. 단, 색이 변하거나 곰팡이가 생겼다면 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아요.
3. 달걀
냉장보관을 한 계란은 유통기한보다 25일 정도까지 먹을 수 있어요. 단, 물에 넣었을 때 둥둥 떠오른다면 상한 것이니 확인 후 섭취하세요.
4. 요거트
유통기한이 지나면 뚜껑이 부풀어 오르는 요거트도 유통기한이 지나고 섭취 가능한데요. 개봉한 적이 없을 때, 냉장고에 있었다면 유통기한보다 10일까지 섭취가 가능하답니다.
5. 두부
두부의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으로부터 90일까지로 긴 편인데요. 이것도 역시 개봉하지 않은 냉장 두부에 한합니다.
6. 봉지라면
기름에 튀겨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라면은 유통기한이 6개월로 긴 편인데요. 소비기한은 유통기한보다 8개월까지 더 보관이 가능해요. 하지만 오래될수록 면발이 툭툭 끊기고 맛이 없어지니 되도록이면 빠른 시일 내에 먹는 것을 권한답니다.
7. 식빵
습기가 차면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식빵은 냉동 보관을 하면 좋습니다. 냉동실에서 최대 20일까지 더 보관할 수 있지만 너무 마르고 냄새가 나기 시작한다면 과감히 버리자 상온에서 보관 시 6일까지 가능합니다.
8. 냉동만두
비교적 대용량으로 포장이 되어있는 냉동 만두는 한 번 개봉하면 다 먹기 어려운데요. 이때 남은 냉동만두는 유통기한이 지나고 25일까지 섭취가 가능해요. 개봉하지 않은 상태로 냉동실에 보관 중이던 만두는 유통기한보다 1년 더 보관 가능하답니다..
9. 참기름
참기름은 햇빛과 공기에 노출되면 산화돼 상하기 쉬우니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둬야 해요. 개봉하지 않은 참기름은 유통기한보다 2년 6개월까지 두고 먹을 수 있어요.
10. 고추장
발효 식품인 장류는 집에서 직접 만든 것이 아니라면 빠른 시일 내에 먹는 것을 추천드려요. 개봉하지 않은 고추장은 냉장고에서 2년 이상 보관할 수 있습니다.
11. 식용유
식용유 또한 공기에 노출되면 산패되기 쉬워 미개봉 기준으로 5년 정도 보관이 가능해요. 식용유가 상했을 경우 색으로 분별하기 어려우니 냄새를 맡아보세요.
유통기한 지난 식품을 안전하게 먹기 위해서는 보관 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상품에 표시되어 있는 보관 방법에 따라 보관해 주세요.
'생활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식품 계란 효능 10가지 (0) | 2020.04.02 |
---|---|
놀랍도록 다양한 바세린 활용법 10가지 (0) | 2020.04.01 |
유통기한 지난 식품, 청소 활용법 9가지 (0) | 2020.03.31 |
이렇게 쓰면 유용한 실리카겔 활용법 9가지 (0) | 2020.03.31 |
실생활에 유용한 페트병 재활용 10가지 (0) | 2020.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