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립성 저혈압 원인, 증상, 예방법 알아보기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핑도는 어지러움과 눈앞이 깜깜해지는 증상을 느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한 번쯤은 경험해보셨을 텐데요. 이것은 기립성 저혈압과 관련된 증상입니다. 오늘은 기립성 저혈압 원인 및 증상에 대해 알아보아요.
기립성 저혈압 원인, 증상, 예방법 알아보기
- 원인
- 증상
- 예방법
1. 원인
누워 있거나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면, 혈액이 머리 부분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어지러움과 눈앞이 깜깜해지는 증상을 느낍니다. 이는 혈액이 시신경과 관련된 후두부에 완전히 전달되지 않아 시력장애가 와서 깜깜하게 보이거나 잘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원인불명이기도 하고, 정신질환 치료제와 항고혈압제 등 약물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류머티스성 질환, 당뇨병, 만성 알코올 중독증과 같이 만성질환에 의해 나타나기도 합니다.
어떤 이유든지 하지 혈관에 피가 일시적으로 몰려 순환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주로 혈관수축에 문제 있는 사람들이나 혈관에 작용하는 약을 먹는 환자의 경우 혈관이 확장되는 약의 효과로 혈압 상승을 인위적으로 억제해 놓았기 때문에 흔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의 환자는 혈관의 적응 능력이 떨어져 위험합니다. 진짜 저혈압은 기립성 저혈압과 큰 관련성이 없지만, 평소 혈압이 낮은 사람에게 기립성 저혈압이 올 확률이 높습니다.
2. 증상
원인 질환에 따라 증상이 다릅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갑자기 일어날 때 나타나지만, 다시 누우면 가라앉습니다. 뇌 질환이 동반된 경우라면 원인 질환의 소견이 나타나고, 원인 질환이 없이 생긴 경우라면 일반적 증상으로 목이 뻣뻣함, 두통, 전신 무력감, 현기증, 어지럼증 등의 느낌이 있습니다.
3. 예방법
1) 천천히 일어나기
누워있다가 혹은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는 것을 자제합니다. 특히 웅크리고 오래 앉은 자세는 좋지 않습니다. 만약 웅크린 자세로 오래 앉아있었다면, 일어날 때 다리를 주무르며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에 기립성 저혈압 증세를 경험한 적이 있다면 난간을 짚고 안전하게 일어나거나 주변 사람의 부축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운동
평소에 걷기 운동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여 근력과 혈관의 적응능력을 키웁니다. 특히 하체 근육을 튼튼하게 만들면 상체까지 혈액이 잘 돌게 도와줍니다. 까치발 들길, 런지, 스쿼트, 계단 오르기 등 하체 근육을 강화해주는 운동이 도움됩니다.
3) 체내 수분량 유지
무더운 여름날이나 사우나와 같이 땀이 많이 나는 상황에서는 체내 수분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진이 오는 환경을 피하고, 체내 수분량이 잘 유지되도록 수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압박스타킹 착용
장시간 오래 서 있는 일을 한다면 압박 스타킹 착용이 도움됩니다.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면 하체로 몰리는 혈액이 줄여주고, 온몸에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도움을 줍니다.
5) 비타민 A, C가 풍부한 음식 섭취
비타민 A, C가 풍부한 채소를 챙겨 먹으면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두 가지 비타민이 풍부한 음식으로는 옥수수, 사과, 브로콜리, 당근, 피망, 시금치, 양배추 등이 있습니다. 참고로 채소는 생으로 먹을 때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어지럼증이 심할 때는 실신은 물론 골절, 낙상 등과 같은 2차 손상이 우려되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평소 위의 예방법을 익혀두었다가 실생활에서 적용하시기를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혈 원인 및 증상 알아보기 (2) | 2024.10.15 |
---|---|
샤인머스켓 후숙 효능 보관방법 등 알아보기 (0) | 2020.09.29 |
타트체리 부작용과 효능 7가지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0.08.18 |
키위 보관법, 부작용, 효능 7가지 알아보기 (0) | 2020.08.14 |
혓바늘 원인&없애는 법 3가지 (0) | 2020.06.01 |
댓글